티스토리 뷰
목차
부모님 요양등급 신청을 준비하고 계신 50대 자녀분들, 혼자서 알아보기 어려운 지역별 숨겨진 정책들이 많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간단한 방법들과 우리 지역만의 특별 혜택들을 이 글만 읽으면 모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끝까지 보시면 요양등급 준비가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Q1. 앞으로 요양등급 제도, 어떻게 달라지나요?
실제 요양 필요도 중심으로 개편됩니다.
지금까지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중심 평가였지만, 신체 기능 + 인지 기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개편됩니다.
등급 체계도 새롭게 바뀔 예정입니다. 기존 1~5등급 → 개편안: 1~6등급 + 인지지원군 포함.
이를 통해, 중증 치매 환자 등 돌봄이 꼭 필요한 분들이 보다 정확하게 등급을 받고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Q2. 재가(집)에서 요양받는 서비스가 더 좋아지나요?
네, 통합재가서비스가 대폭 확대됩니다.
중증 수급자(1·2등급)의 경우 시설입소자 수준으로 월 지원 한도액 단계적 인상(~2027).
통합재가서비스 기관이 현재 50개소 → 1,400개소까지 확대 추진.
방문요양뿐 아니라, 수시방문, 외출·차량지원, 야간 돌봄 등 집에서도 병원급 서비스 제공 가능.
Q3. 가족도 함께 지원받을 수 있나요?
치매가족뿐 아니라 중증 수급자 가족도 지원받습니다.
기존 ‘치매가족휴가제’를 확대하여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로 개편(2024~).
단기보호 서비스(중앙방문요양)도 연 9~12회 → 연 24회까지 확대 예정.
상담센터도 전국 227개소까지 확대, 가족 대상 맞춤 상담 제공.
Q4. 요양보호사 1명이 돌보는 인원도 줄어드나요?
네, 수급자 2.3명 → 2.1명으로 줄어듭니다.
보다 집중적이고 질 높은 돌봄 제공이 가능하도록 요양보호사 1인당 담당 수 축소(~2025).
승급제 도입, 수당 지원,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요양보호사의 처우와 역량도 함께 개선됩니다.
Q5. 지역별 차이도 개선될까요?
네,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시범사업도 추진 중입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서비스 불균형 해소를 위해 ‘재가환경개선 시범사업’, 이동지원 서비스, 재택의료센터 확대.
지역별 인력 수급 격차를 반영한 대응책도 마련. 외국인 요양인력 활용, 위험지역 인력 우선 배치 등.
초고령사회를 대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은 단순한 제도 개편을 넘어, 실제 수급자와 가족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요양등급 신청을 앞두고 있거나, 향후 가족 돌봄이 필요하신 분이라면 지금부터 변화되는 정책 방향을 꼭 확인해 두시기 바랍니다.
'국가지원금 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국납부금 환급 지금 (과납, 차액, 신청) (0) | 2025.08.11 |
---|---|
갑자기 생계가 막막하다면? 최대 180만원 정부 긴급복지지원제도 신청법 알려드립니다 (1) | 2025.07.24 |
전국민 심리상담, 이제 집에서 클릭 한 번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1) | 2025.07.24 |
2025년, 한부모 가족을 위한 따뜻한 변화들💛 꼭 챙겨보세요 (1) | 2025.07.22 |
2024~2025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안내 (1)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