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사진제공: ibk기업은행

    1) 온라인 신청은 어디서, 무엇부터 하나요?

    새출발기금 누리집에서 본인인증 → 정보제공 동의 → 자격 확인 → 채무내역 조회 → 추가정보 입력 → 접수 완료 순서로 진행됩니다. 접수 후에는 온라인에서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온라인 본인인증은 어떤 방식이 가능한가요?

    • 개인사업자: 휴대폰 본인확인, 간편인증, 개인 공동인증서(PC 필요)
    • 법인사업자: 법인 범용공동인증서(PC 필요)
    • ※ 공동인증서는 PC에서만 가능하며, ‘대표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온라인 신청 전, 꼭 준비해야 할 서류는?

     

     

    절차 안내페이지로 이동하기

     

     

     

    공통으로 신분증, 사업자등록증(또는 증명원)이 필요하고,
    상황에 따라 소득·매출 증빙(부가세과세표준증명·재무제표 등), 대출잔액증명, 임대차계약서 사본을 요구합니다.
    법인은 추가로 소상공인 확인서가 기본(미발급 시 대체서류로 추가 자격심사 가능)입니다.

     

     

     

     

    4) 오프라인 신청은 어디로 가야 하나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새출발기금 상담센터’ 또는 신용회복위원회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접수합니다.
    지역별 센터 위치·운영시간·대표번호(1660-1378)는 공식 사이트 ‘상담센터 찾기’에서 확인하세요.
    (예: 서울통합상담센터 — 강남구 캠코양재타워, 평일 09:00~18:00)

     

    5) 오프라인 방문 시 무엇을 챙기면 좋을까요?

    신분증, 사업자등록 관련 서류, 소득·매출 증빙, 대출 관련 증빙(잔액증명 등), 임대차계약서,
    (법인) 등기·인감 관련 서류를 지참하세요. 개인별로 요구 서류가 달라질 수 있어 상담 단계에서 추가 안내를 받게 됩니다.

     

    6) 누가 신청 대상인가요? (핵심 요건)

    ‘2020년 4월~2025년 6월’ 사이에 사업(휴·폐업 포함)을 영위한 개인·법인 소상공인 중
    부실차주(3개월 이상 연체) 또는 부실우려차주(장기연체 위험)를 대상으로 합니다.
    사업·가계 관련 대출(최대 15억: 담보 10억 + 무담보 5억) 일부는 제외 규정이 있어, 자격 확인 단계에서 자동 판별됩니다.

     

     

     

     

    7) 어떤 방식으로 조정되나요? (거치·상환·감면)

    • 상환구조: 거치 최대 3년(신용대출 1년), 최장 20년 분할상환(신용대출 10년)
    • 원금조정: 부실차주 0~80%(취약계층 최대 90%)
    • 금리조정: 부실우려차주 금리 인하(상한 안내 공지 있음)

    접수 익일부터 추심·강제집행이 중단되는 점도 유의하세요.

     

    8) 신청을 취소하거나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

    신청 익월 15일까지 취소할 수 있으며, 취소 후 90일간 재신청은 제한됩니다.
    반복·고의 신청 방지를 위한 규정이에요.

     

    9) 심사는 얼마나 걸리나요?

    공식 사이트에 정확한 평균 기간은 없지만, 사례 기준으로 평균 4~6주 소요됩니다.
    다만 신청 물량·보완 요청 여부에 따라 2개월 이상 걸릴 수 있어요.

     

    10) 자격 조회가 안 되면 끝인가요?

    ‘추가 자격 심사’ 제도가 있어, 데이터 누락·코로나 피해 증빙 보유 등 사유가 있으면
    증빙 서류 첨부로 온라인 재심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횟수 제한 없음, 신청기한 내).


    한눈에 정리 — 바로 시작 체크리스트

    • 온라인: 새출발기금 누리집 접속 → 본인인증(휴대폰/간편/공동) → 자격확인 → 서류 업로드 → 접수/진행조회
    • 오프라인: 캠코·신복위 센터 방문(신분증·사업·소득·대출·임대차 등 서류 지참) → 상담·접수
    • 주의: 익월 15일까지 취소 가능, 재신청 90일 제한 / 접수 익일부터 추심·강제집행 중지
    반응형